이미지 전송 부분을 구현하다보니, URI, URL, URN의 차이점이 헷갈려서 정리함

URI
- 통합 자원 식별자 ( Uniform Resource Identifier )
-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식별하는 문자열
- URL, URN가 URI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.
- 예시 : https://wquiz.dict.naver.com/quiz.dict?service=krdic&quizId=c2b25643eb0f4904bbea1e6a655f397a
URL
- 통합 자원 지시자 ( Uniform Resource Locator )
- 특정 서버의 한 리소스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
- 예시 : https://wquiz.dict.naver.com/quiz.dict
네이버 단어퀴즈
알아두면 좋은 언어상식을 퀴즈로 배워 보세요.
wquiz.dict.naver.com
URN
- 인터넷에 존재하는 각종 정보들의 유일한 이름을 표시하는 식별자 ( Uniform Resource Name )
- 리소스가 옮겨지는 경우 기존 URL이 가지고 있던 객체를 찾을 방법이 없는데,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탄생했다.
- 객체의 위치와 상관없이, 실제 객체의 이름을 사용해 위치가 바뀌더라도 찾아갈 수 있게 한다.
- 예시 : urn:isbn:04512351
결론
- URI, URL, URN 셋 다 인터넷 상의 정보들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이다.
- URI의 범위 안에 URL, URN이 들어간다.
- URN은 URL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.
- https://wquiz.dict.naver.com/quiz.dict?service=krdic&quizId=c2b25643eb0f4904bbea1e6a655f397a 에서
- https://wquiz.dict.naver.com/quiz.dict 까지는 Locate(위치)를 나타내는 url이라고 할 수 있고,
- ?service=krdic&quizId=c2b25643eb0f4904bbea1e6a655f39 부터는 Identify(식별)을 할 수 있는 uri라고 보면 된다.
'이론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loud] VPC, 서브넷, NACL, ACG 에 대해 (0) | 2022.03.18 |
---|---|
REST, REST API 란? (0) | 2020.09.02 |
서버와 웹 서버 (0) | 2020.09.01 |